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cker-compose
- .NET
- .net maui
- .net core
- 알고리즘
- sql
- asp.net core
- 백준
- 재귀
- REDIS
- 자료구조
- API
- quick sort
- 스택
- 시간복잡도
- 큐
- BFS
- 정렬
- C++
- 파이썬
- C#
- Get
- Docker
- Merge Sort
- dfs
- maui
- asp.net
- mysql
- 탐색
- 도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컴공의 일상/게임 개발 - 유니티 (2)
코젤브

로컬에서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GitHub에 커밋해야하는 경우 GitHub Repository를 별도로 생성한 후 받아와서 작업하는 게 아니라 로컬에서 먼저 작업 중인 프로젝트를 GitHub Repository에 올려야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Git Bash를 사용합니다. 우선, 로컬에서 작업하던 프로젝트 폴더를 우클릭해서 Git Bash Here를 클릭합니다. 1. 로컬 Git Repository를 만들기 git init 로컬 Git Repository 상태 확인하기 (git status) git status 2. 전체 파일을 추가하는 과정 git add . 3. 커밋 메세지와 함께 로컬 Git Repository에 Commit하기 (아래의 경우 커밋 메세지 : init commit) git comm..
컴공의 일상/게임 개발 - 유니티
2024. 1. 19. 02:47
Unity 버전 수동 설치 시 경로 유의
나의 경우 default 경로로 설정하면 그냥 Program Files\Unity 20XX.X.XX 식으로 설치가 되었는데, 이렇게 되면 버전을 유니티에서 접근할 수 없었다. 따라서 Program Files\Unity\Hub\Editor 아래에 각 버전을 설치하니 문제 없이 접근할 수 있었다. 특히 새로운 bulid platform를 설정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Android나 IOS의 Support-for-Editor를 설치할 때 유의하도록 하자.
컴공의 일상/게임 개발 - 유니티
2023. 12. 27. 17:28